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역할: DNS, ICMP 및 텔넷의 기능

by min_daily 2024. 12. 1.

 

DNS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관리하는 시스템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는 체계입니다. 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서버를 DNS 서버라고 하며, 여러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하여 서로 통신하면서 관리합니다. DNS는 인터넷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P 주소를 쉽게 다루기 위한 도메인 이름
인터넷에서는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IP 주소는 유일한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는 중요한 식별자가 됩니다. 그러나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는 기억하기 어렵고, 사용자가 다루기에는 불편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도메인 이름입니다. 도메인 이름은 조직이나 지역, 속성(예: 기업, 학교, 국가 등)을 계층적으로 추가한 형태로,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은 해당 웹사이트의 IP 주소를 대체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관리 방법
전 세계의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DNS는 이 대응표를 여러 DNS 서버에 분산하여 관리합니다. 각 서버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영역"이라는 단위로 관리하며, 서버 간에 데이터를 교환합니다. 이 정보를 유지하는 서버를 권한 DNS 서버 또는 네임 서버라고 합니다. 이러한 서버는 특정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요청할 때, LAN 내 DNS 서버가 도메인 이름을 알고 있으면 IP 주소를 직접 제공하고, 모르면 다른 DNS 서버에 문의합니다. 이 과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리졸버라고 하며, 리졸버는 DNS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작동할 수도 있습니다. 리졸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고,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응답합니다.

 

DNS의 작동 방식
DNS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2. 클라이언트의 DNS 리졸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3. 로컬 DNS 서버가 IP 주소를 알고 있다면 직접 응답하고, 모르면 다른 DNS 서버에 요청합니다.
4. 요청된 IP 주소가 발견되면, 해당 정보가 클라이언트에게 반환됩니다.
5. 클라이언트는 반환된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DNS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ICMP -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프로토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목적지와 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정보 교환이나 패킷이 제대로 도착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규정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오류 메시지 통지와 통신 상태 확인 등에 사용됩니다.

 

ICMP의 주요 역할
ICMP는 TCP와 UDP와 함께 인터넷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중 하나로, 주요 역할은 처리 실패나 장애 발생 시 오류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호스트에 도달할 수 없을 때 ICMP는 "목적지 도달 불가" 메시지를 전송하여 문제를 알립니다. ICMP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상태를 확인하고, 라우터와 스위치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ICMP는 목적지에서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필요한 관리 정보를 교환합니다. 이에 따라 ICMP 패킷은 LAN뿐만 아니라 라우터를 넘어 인터넷에서도 전송됩니다. ICMP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 관리자가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ICMP 패킷의 구조
ICMP 패킷은 IP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있으며,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됩니다. ICMP 패킷의 헤더에는 다음과 같은 필드가 포함됩니다:
- 타입: 패킷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코드: 타입에 따라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 체크섬: 패킷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값입니다.
페이로드는 오류 메시지와 전송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타입과 코드에 따라 가변 길이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타입 3(목적지 도달 불가)의 코드가 자주 사용되며, 이 코드에 따라 원인을 세부적으로 설명합니다.

 

텔넷 - 원격 서버에 로그인하는 프로토콜

텔넷(Telnet)은 단말기에서 서버에 원격으로 로그인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원격 로그인은 서버 관리 및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텔넷의 기능과 사용
텔넷 프로토콜은 단말기와 서버 간에 텍스트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마우스를 사용할 수는 없지만, OS 관리나 네트워크 설정은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텔넷은 3 계층 이상의 네트워크 장치(라우터, L3 스위치, 방화벽 등)를 설정할 때도 유용합니다.
텔넷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서버에서는 텔넷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어야 하고, 클라이언트 측에는 텔넷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리눅스나 mac OS 등에서는 텔넷 서버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항상 실행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터미널 소프트웨어로 불립니다. 텔넷 연결을 통해 사용자는 서버에 로그인하고, 다양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텔넷의 보안 문제
텔넷을 사용할 때는 서버의 IP 주소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고, TCP 포트 23이 열려 있으면 로그인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사용자 ID와 암호를 입력하면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텔넷은 패킷을 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로그인 후 작업하는 명령 정보가 평문으로 전송됩니다. 이러한 보안 문제로 인해 현재는 텔넷 대신 암호화 통신이 가능한 SSH(Secure Shell)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SSH는 데이터 전송 시 암호화를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DNS, ICMP, 텔넷은 각각 인터넷과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관계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ICMP는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텔넷은 원격 서버 관리에 필수적이지만 보안 문제로 인해 SSH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이해함으로써 네트워크 구조와 작동 원리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으며, 현대 IT 환경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